본문 바로가기
알뜰정보/일상정보

태풍(카눈)오기 전 체크리스트, 행동요령, 대비 팁

by ★※◁ 2023. 8. 8.

태풍의 이동경로가 바뀌어 많은 분들이 걱정하고 계십니다. 태풍이 닥치기 전에 미리 체크리스트를 확인하시고 대처 방법등을 숙지하시여 큰 피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태풍의 경로 

카눈 태풍 이동경로 예상

현재 태풍 카눈의 이동경로 예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상청은 8일 오전 10시 발표한 태풍정보에서 유력 경로를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태풍은 동서 편차가 700km에 달할 정도로 '변동성'이 매우 큰 상황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계속 TV나 라디오를 통해서 이동경로를 유의하고 미리 대비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체크리스트

미리 안전 점검표를 만들어 확인함으로 피해를 최소화 하시길 바랍니다. 점검표를 링크를 통해 다운받으세요.

 

대처방법

1. 태풍의 진로 및 도달 시간을 파악해서 어떻게 대피할지를 생각합니다.∙ TV,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기상상황을 미리 파악하여 어떻게 할지를 준비합니다.
∙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안전디딤돌)을 통해 재난정보를 파악하여 주변 사람들과 공유합니다.

 

2. 산간·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산간·계곡, 하천, 방파제 등에서 야영이나 물놀이를 멈추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 함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저지대나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지하 공간이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건물 등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3. 주택이나 차량, 시설물 등의 보호를 위해 가족이나 지역주민과 함께 준비합니다.∙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미리 결박하고, 창문은 창틀에 단단하게 테이프 등으로 고정합니다.
∙ 하천이나 해변,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가족과 함께 가정의 하수구나 집 주변의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은 뚫습니다.
∙ 침수가 예상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물 등은 모래주머니, 물막이 판 등을 이용하여 침수를 예방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 시설하우스 등 농업 시설물은 버팀목이나 비닐 끈 등으로 단단히 묶고, 농경지는 배수로를 정비하여 피해를 예방합니다.
∙ 선박이나 어망·어구 등은 미리 결박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합니다.
∙ 지역 주민과 함께 공사장, 축대, 옹벽 등을 미리 점검합니다.

 

4.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준비하여 재난에 대비합니다.∙ 비상시 신속한 대피를 위해 응급용품은 미리 배낭 등에 넣어둡니다.
∙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욕실 등에 미리 물을 받아둡니다.
∙ 정전에 대비하여 비상용 랜턴, 양초, 배터리 등을 미리 준비해 둡니다.
∙ 긴급 상황에 따른 정보 수신을 위해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앱을 설치하고,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등의 연락처를 확인합니다.

 

5. 외출은 자제하고 연세 많은 어르신 등은 수시로 안부를 확인합니다.∙ 약속된 일정은 취소하거나 조정하여 외출을 자제하고, 주변에 정보를 알려 줍니다.
∙ 연세 많은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등은 외출을 하지 않도록 당부하고 수시로 전화 등을 통해 안부를 확인합니다.

 

대비 팁

베란다의 유리창이나 상가의 유리창이 가장 걱정될 수 있습니다. 강풍에도 깨지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창틀의 실리콘이 떨어지지 않았는지 유리가 실리콘의 탈락으로 흔들거리지 않는지 확인하세요. 유리가 틀 사이에서 흔들거린다면 약한 바람에도 깨질 수 있습니다. 
  • 창틀에 신문지를 끼우거나 테이프로 고정하여 흔들림을 줄이세요. 
  • 유리에 비산방지 필름을 시공하여 깨졌을 경우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창틀 사이를 막으면 흔들림을 막을 수 있습니다.
창틀에 테이프를 붙여 흔들림을 막을 수 있습니다.

 

 

대피방법을 숙지하시고 이번 태풍에도 피해 없이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